가끔 스타1을 켜서 컴퓨터 숫자를 1개씩 늘려가며 마지막엔 1:7로 컴까기를 하는데요.
요즘 게임들의 최신 그래픽에 익숙해지다보니 뭔가 색다른 맛으로 해보고 싶어져 찾아보니
스타2로 스타1을 할 수 있어 요즘은 스타2 vs 스타1 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본 글에서는 스타크래프트2에서 스타1 사용자 지정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스타2 기본게임은 무료이기 때문에 배틀넷 런쳐를 설치하고 배틀넷 아이디가 없다면 회원가입을하여 로그인합니다.
스타크래프트2를 설치 후 실행합니다.
사용자 지정 -> 섬멸전 -> 원하는 맵을 검색합니다.
저는 Hunter를 많이 해서 hunter를 검색하면 사용자들이 Hunter 비슷하게 만든 맵들이 많이 나옵니다.
official 이라고 검색하면 괜찮은 맵이 많이 나오네요.
그것들을 하나씩 보면서 괜찮은게 있으면 우클릭하여 즐겨찾기를 해두면 다음에 또 할 때 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맵을 고르고 게임 만들기 [모드 적용]을 누릅니다.
화면 우측하단의 컴퓨터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게임플레이에서 간단 명령 창 사용을 꼭 체크 해제하셔야 스타1같은 명령창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좌측하단을 보면 단축키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참고로 프로토스의 경우 프로브와 파일런의 단축키가 스타2에서 P에서 E로 바뀌고 집결지 지정이 R에서 Y로 바뀌었는데
바꾸려고 하면 다른단축키가 해제된다고 경고가 뜨므로 안바꾸고 스타2 단축키에 적응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게임 만들기 [모드 적용]을 눌렀으면 확장 모드 선택창이 나오는데
evo를 검색하면 여러가지 SC: Evo Complete 모드가 나옵니다.
모드마다 미세하게 다른데 SC: Evo Complete Legacy를 해야 처음 일꾼이 4마리로 시작합니다.
다른 것들을 전부 해본건 아니지만 대체로 스타2 처음 일꾼수인 12마리가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우클릭하여 즐겨찾기를 해두시면 다음에 고를 때 편합니다.
다되었으면 대기실 만들기를 누릅니다.
기본적으로 비공개대기실로 만들어지는데 컴까기 혹은 친구와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화면 우측상단의 인공지능 추가나 플레이어 추가로 컴퓨터를 추가하거나 친구를 초대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를 추가했으면 드래그로 진영을 나눌 수 있습니다.
팀전이 싫으면 설정의 모드에서 개별전을 선택하면 됩니다.
아쉽게도 1:7은 안되고 1:4가 최대인 것 같네요.
만약 모르는 사람과 같이 하고 싶다면 공개로 전환을 누르면 됩니다.
게임을 시작할 준비가 끝났으면 게임 시작을 누릅니다.
작게 보면 워크3 같기도 하고 스타2도 좀 오래된 게임이다 보니 그래픽이 엄청나게 좋아지지는 않고
그냥 평소와 다른 색다른 느낌으로 즐긴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IT 팁 >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ilutionX로 디아블로1 한글판 실행하기 (0) | 2025.03.15 |
---|---|
The Stanley Parable 스탠리 패러블 3인칭으로 하기 (0) | 2025.03.15 |
스팀런쳐 게임 라이브러리 맞춤 아트워크, 맞춤 배경, 맞춤 로고 설정 (0) | 2025.02.16 |
바이오하자드7 DLSS 모드 (3) | 2025.01.30 |
바이오하자드7 3인칭모드 적용법 (0) | 2025.01.30 |